인간관계

강력한 팀 만들기 팁, 소속감, 결속력을 만드는 것

팀은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팀의 성과는 조직의 성공에 직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팀 빌딩 중, 소속감에 대한 부분을 다뤄볼까 합니다. 소속감을 느끼려면 기본적인 신뢰관계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오늘은 나쁜 소식 다루기에 대해서 써보려고 합니다. 소속감이 견고하게 자리 잡으려면, 좋지 않은 소식을 나누거나 난처한 피드백이 오갈 때 어떻게 대처하고 반응하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여러분이 리더라면, 불편한 진실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정말 중요합니다. 불편한 진실을 묻어두지 않는 것뿐 아니라, 조직의 치부를 드러내는 목소리를 끌어안아야 합니다. 그래서 리더입니다. 세월이 지난다고 자연스럽게 리더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불편한 진실을 (이성적/감성적) 바르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은 리더가 ..

인간관계 2023.06.20

킹도멀리티, 직장에서 서로 비난하기전 살펴봐야할 성향 테스트

지난번 포스팅에서 직장 내에서의 MBTI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이번에는 지난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킹도멀리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킹도멀리티는 출간된 지 좀 지난 책이기는 한데요. 그 책 속에 담긴 인사이트가 좋아서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개념입니다.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지 않은 왕국이 혼란이 빠진 것을 빗대어 성향에 맞는 인재배치의 중요성을 강조한 개념인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글 후반부에 성향 테스트 링크도 포함시켰습니다) 혼란스러운 왕국(기업) 해럴드 왕이 통치하는 왕국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왕국은 프로젝트는 시작하지만 완수하는 경우는 드물었고, 서로 비난하기에 급급했습니다. 프로젝트는 열정 -> 문제 발생 -> 희생양 탐색 -> 무고한 사람 처벌 -> 불..

인간관계 2023.06.19

직장생활에서의 MBTI별 성향 및 적합한 자리 배치

요즘 MBTI라는 툴이 대세인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혈액형이나, 별자리니, 하는 운명론적 성향을 믿어온것에 비해, 좀 더 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의한 자기 성향 테스트를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이전보다 더 고도화된 느낌입니다. 오늘은 이 MBTI가 직장에서 어떻게 활용 될 수 있고, 어떤 관점에서 각 성향을 이해하면 좋을지 써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직장생활에서의 MBTI이해와 관련하여, 아래 책에서 도움을 받았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1xLWf 일하는 사람을 위한 MBTI:탁월한 성과를 만드는 MBTI 직장 사용 설명서 COUPANG www.coupang.com MBTI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인간의 성격 ..

인간관계 2023.06.19

MBTI에서 T와 F의 차이, T는 감정도 없는 인간인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MBTI에서 내향형 외향형 만큼이나 확실한 T와 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는 Thinking을 나타내고, F는 Feeling을 나타냅니다. 단어에서 느껴지기에는 T와 F는 마치 이성과 감성으로 보이는데요. 천천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나, 많은 사람들이 T 유형은 감정도 없는 냉혈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데, 과연 이것이 맞는지 알아보겠습니다. T와 F의 차이 MBTI에서 T는 Thinking의 약자이며, F는 Feeling의 약자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대개 두 가지 유형의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서 드러납니다. T유형은 논리적 접근 방식에 더 주력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실과 분석에 더 의존합니다. 반면, F유형은 감정적인 측면에 더 주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

인간관계 2023.05.31

MBTI에서 J와 P의 차이, P는 과연 무계획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MBTI는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성격 유형 검사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성격 유형을 알기 위해 MBTI를 참고합니다. 검사에서 나오는 결과물을 이용하면 자신의 개성을 파악하고 타인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MBTI의 4번째 알파벳에는 J와 P가 있는데요.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J와 P의 기본적인 성격 특징과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MBTI에서 J와 P의 차이 J와 P는 MBTI에서 I와 E만큼이나 두드러지는 특징입니다. J는 Judging, P는 Perceiving의 약자인데, J는 판단형, P는 인식형에 해당합니다. J는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편이며, P는 융통성이 높고 적응력이 좋습니다. J는 일의 순서와 기한을 둬 일을 처리하고, P는 일을 하는 도중 시간과 움..

인간관계 2023.05.18

MBTI에서 I와 E의 차이, I는 내성적인 것 만이 아니예요.

MBTI는 성격 유형 검사로, 우리가 갖는 다양한 성격 유형을 정리하여 설명해 줍니다. 그중에서도 I와 E는 가장 눈에 띄는 차이 중 하나입니다. I는 Introvert의 약어로 내향적 성향을 의미하고, E는 Extravert의 약어로 외향적 성향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I는 내성적이고, E는 외향적이다라는 말은 일부만 맞는 말입니다. MBTI에서 첫 번째 알파벳인, I/E의 경우, 단순히 겉으로 보이는 수줍고 내성적인 성격이냐, 혹은 활달한 성격이냐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I와 E의 두드러진 특징은 어떤 것일까요? I와 E의 소통 방식 I와 E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소통 방식입니다. I는 내향적이기 때문에, 일단 스스로 생각하고 나서야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시작합니다. 반면, E는 ..

인간관계 2023.05.17
반응형